지난번 포스팅 때 fastboot 스킨을 티스토리 블로그에 적용시키는 법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
fastboot 스킨은 정말 많은 티스토리 블로거 분들이 사용하시는 반응형 스킨 중 하나인데요.
이 반응형 스킨으로 인해 PC, 태블릿, 모바일 등 각각의 기기 화면 크기에 맞춰
블로그의 화면이 최적화 되어 사용자에게 나타나게 됩니다. 오늘은 fastboot 스킨을 커스터마이징 하여
남들과는 조금 다른 모습의 fastboot 스킨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지금 소개해드릴 커스터마이징은 뭐하라님께서 fastboot를 수정하여 배포해주신 방법입니다.
http://nubiz.tistory.com/496에서도 제가 설명해드리는 스킨 적용법을 보실 수 있으며,
뭐하라님의 다른 포스팅 중에도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방법이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 들어가 HTML/CSS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앞으로 HTML/CSS 편집 부분은 자주 사용되니 어렵더라도 익숙해지시는 편이 좋습니다.
들어오셔서 위쪽의 파일 업로드 부분을 눌러줍니다. 그 다음 추가 버튼을 누르셔서 파일을
업로드 시켜주셔야 하는데, 해당 파일은 http://nubiz.tistory.com/496의 뭐하라님의 게시글에 있으니
다운 받아 주시면 되겠습니다. 다운은 본인의 바탕화면이나 아무 폴더에 받아주시면 됩니다.
이왕이면 커스터마이징 폴더를 하나 생성하는 편이 좋겠지요?
뭐하라님의 포스팅에서 올바르게 다운 받으셨다면 위 빨간박스에 나와 있는
Tlab.css 파일이 있을겁니다. 해당파일을 클릭 하신 뒤 열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만약 Tlab.css 파일이 안보이신다면 확장자 선택이 '모든 파일'로 선택 되어 있는지 확인해줍시다.
열기 버튼을 누르셨다면 정상적으로 업로드 되신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앞의 images는 상위 폴더명이니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정상적으로 업로드 되었다면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고 HTML을 클릭하여 태그 수정부분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넘어가셔서 태그가 입력된 부분 아무 곳을 누른 뒤 'ctrl+F'를 눌러 '</head>'를 입력하여
아래 이미지와 같이 경로를 찾아갑니다.
맞게 찾아 오셨다면 '</head>' 윗 부분 한줄을 띈 후 '<link href=".images/Tlab.css" rel="stylesheet"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장 버튼을 한번 더 클릭해주시면 모든 설정은 완료됩니다.
정상적으로 저장이 되었다면 위 모습처럼 상단바가 블로그 타이틀 제목 위로 올라가신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일반 fastboot 스킨 보단 상단바가 위에 적용된 모습이 좀 더 화면이 넓어 보여 좋은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뭐하라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올리며, 다음에는 Fastboot 스킨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포스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활용법의 포스팅을 하게 될지는 의문입니다.